분류 전체보기53 클래식 음악의 역사 - 후기 낭만주의 음악(Neo-romanticism Music) 후기 낭만주의 음악'neo-romanticism music'는 후기 낭만주의 또는 신낭만주의 음악이라 하며 낭만주의의 전통을 이어가면서도 근대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이들보다 앞서서 시도한 음악가들의 작품을 말합니다. 이것은 다른 의미로 낭만주의에 대한 반항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형식에 반하여 일어난 정신적인 분위기를 말하며 20세기의 낭만주의적인 색깔을 지닌 음악 작품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엄격하게 시대 구분하는 음악사에서는 이를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의 음악을 말하는데 이는 낭만주의 음악과 현대 음악 사이에 있는 짧은 기간이기 때문에 보통 낭만주의 음악 안에 포함됩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음악으로는 바그너의 음악극, 베르디의 오페라, 리스트의 교향시를 손꼽을 수 있으며 .. 2025. 3. 8.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슈만) 낭만주의 음악가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슈만은 독일의 초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피아니스트이자 음악평론가였습니다. 슈만의 을 들으면 문학적이면서도 시적인 컬러감으로 달콤함의 절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는 전형적인 낭만주의 음악가로 본인의 음악적인 재능에 문학적인 재능을 더해 음악에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슈만은 기본적으로 문학적인 개념을 음악 위에 두었으므로 그의 곡들은 매우 감성적이면서도 시와 같은 느낌을 줍니다. 로베르트 슈만은 1810년 독일의 츠비카우에서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출판업을 하였기에 어려서부터 문학을 접할 기회가 많았으므로 14세 때에는 아버지가 출판하는 책에 그의 글이 실렸고, 17세 때에는 시를 자작하기도 .. 2025. 3. 5.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쇼팽) 낭만주의 음악가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쇼팽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설렙니다. 그의 음악 선율은 이 세상에서 가장 세련되고 정감 있으며 어느 하나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순수하고 아름다움 그의 음악을 듣고 있으면 마음이 깨끗해지면서 꿈을 꾸는 것처럼 고요해집니다. 그는 '피아노의 시인' 그 자체입니다. 쇼팽은 1810년 바르샤바에서 조금 떨어진 작은 마을 젤라조바볼라에서 1남 3녀 중 둘째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프랑스 출신으로 폴란드의 귀족 자제들을 가르쳤고, 어머니는 폴란드인이었습니다. 쇼팽이 태어난 해 아버지가 바르샤바 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게 되면서 그의 가족은 작센 궁정으로 이사하였습니다. 누나가 피아노를 배워 쇼팽에게 놀이로 가르쳐 주며 그가 재능.. 2025. 3. 2.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멘델스존) 낭만주의 음악가멘델스존(Bartholdy Felix Mendelssohn, 1809~1847)독일어로 행운아라는 뜻을 가진 'Felix'. 펠릭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음악가 중에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집안은 유대인 가문으로 할아버지 모제스는 유명학 철학자이고, 아버지 아브라함은 능력 있는 은행가였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영문학과 불문학 및 이탈리아 문학을 연구하던 여성으로 아마추어 음악가이기도 했습니다. 좋은 집안의 자녀로서 재능, 외모, 교향까지 뭐 하나 빠지는 것 없이 훌륭했습니다. 이런 완벽한 조건의 집안에서 태어난 멘델스존은 재정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누나와 함께 피아노를 배운 멘델스존은 9세에 첫.. 2025. 2. 27.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베를리오즈) 낭만주의 음악가베를리오즈(Louis Hector Berlioz, 1803~1869)독일에 비하여 보잘것없었던 프랑스의 낭만주의 음악계에 베를리오즈가 혜성처럼 나타났습니다. 그는 근본적으로 낭만주의 작곡가입니다. 그의 삶 자체가 소설이라 할 만큼 꿈과 생활을 구별하지 못하고, 바람과 동경이 현실을 꺾어버렸습니다. 그는 단계적이고 논리적인 것을 무시하였고, 공상으로 인해 창조라는 것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모습이나 삶 그리고 작곡하는 방법까지 뭐 하나 평범한 것이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대표작 은 그런 낭만적인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작품입니다. 그는 1803년 남프랑스의 라코트생앙드레에서 변호사인 할아버지와 의사인 아버지의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본인처럼 의사가 되기를 바랬던 아버지의 뜻에 따라.. 2025. 2. 25.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슈베르트) 낭만주의 음악가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고작 31년이라는 짧은 삶을 살았지만 무려 998곡이라는 수많은 작품들을 남긴 슈베르트. 그의 삶은 화려하거나 영광이라는 말과는 전혀 상관없는 수수하고 방랑적인 생활이었지만 아름답고 풍성했던 그의 음악은 음악사상에서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것입니다. '가곡의 왕'으로 불리는 슈베르트는 1797년 오스트리아의 빈 외곽의 리히텐탈에서 태어났습니다. 사립초등학교 교장이었던 아버지가 음악을 좋아했기 때문에 어려서부터 음악과 함께 성장하였지만 그가 음악가가 되기를 바라지는 않았습니다. 음악적 소질이 뛰어났던 그는 8세부터 음악의 기초교육을 받았으며 11세에는 빈 궁정예배당의 합창아동으로 활동하였습니다. 하지만 어려서부.. 2025. 2. 22.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가(베버, 로시니) 낭만주의 음악가베버(Carl Maria von Veber, 1786~1826)베버의 음악사적 가치는 낭만주의 국가적 오페라를 완성했다는 것입니다. 그의 대표작인 는 낭만주의 꽃을 피우게 했던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되었던 오페라였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는 생활을 하였는데 이것이 그의 예술에 크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독일의 아름다운 자연과 민속예술을 직접 체험하며 그의 타고난 낭만적인 성향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다른 나라의 오페라를 보고 국민감정을 깨닫게 되며 독일적인 오페라의 필요성을 느낀 것도 이러한 생활의 결과였습니다. 베버는 1786년 독일의 오이틴이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선천적으로 좌골 이상으로 인해 4세가 될 때까지도 걷는 것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 2025. 2. 19.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의 용어 낭만주의 음악의 용어 교향시(Symphonic Poem)교향시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자유사고가 특징인 낭만주의 운동의 결과가 가져온 19세기 음악의 중요한 산물 중의 하나입니다. 문학이나 다른 예술과 결합되었으며 음악 외적인 이야기 또는 묘사를 담고 있습니다. 단악장으로 정해진 형식이 아닌 표제에 의해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시적이거나 회화적이고, 서사적 또는 영웅적인 내용들을 복잡하고 미묘하게 표현한 음악입니다. 관현악법의 발전과 화성어법상의 개발이 있었고, 특정 인물 또는 관념을 드러내는 일정한 동기나 주제가 사용되기도 하였습니다.베를리오즈는 강렬한 환상을 그리는 대규모의 관현악을 다루어 표제음악에 하나의 색다른 방향을 내놓았습니다. 그는 마치 소설을 쓰는것 처럼 음악을 만들었고, 주요 인물.. 2025. 2. 17. 클래식 음악의 역사 - 낭만주의 음악(Romantic Music) 낭만주의 음악낭만이라는 단어는 언제 들어도 기분이 좋아지게 합니다. 사전적 의미의 낭만이란 현실에 매이지 않고 감성적이고 이상적으로 사물을 대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원래 'romantic'이라는 단어는 중세 유럽에서 유행하던 통속소설을 의미하는 'romance'에서 유래되었고, 이는 전기적이고 공상적인 요소가 많은 애정담이나 무용담을 중심으로 하는 이야기입니다. 때문에 로맨틱하다는 말에는 비현실적이고 소설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낭만주의 음악의 배경엄밀히 말하면 음악의 시대적인 분류에 낭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지만 19세기의 음악이 문학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은 사실이므로 낭만주의 음악이라는 단어의 정당성을 인정해야 합니다. 베토벤으로 시작된 낭만주의 음악은 빈 고전파와 19세기 .. 2025. 2. 14. 클래식 음악의 역사 - 고전주의 음악가(베토벤) 고전주의 음악가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베토벤의 음악은 사람의 마음을 동요시킵니다. 그것은 계속해서 용기와 힘을 주고 위로하며 좋은 쪽으로 인도해 줍니다. 베토벤의 음악이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인류에게는 기쁨인 것입니다. 베토벤은 1802년 난청을 고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후 '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를 썼습니다. 실제로 그가 자살기도를 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가장 사랑했던 음악으로 인해 죽으려 했고, 또 그 음악으로 인해 살 수 있었습니다. 이 유서를 쓴 이후 베토벤은 정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더욱 강인해지며 이제까지 그 누구도 가보지 못한 예술 영역에 들어섭니다. 베토벤의 가장 찬란한 창작 시기는 이때부터입니다.베토벤의 창작 활동은 세 시기로 분류할.. 2025. 2. 1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