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오늘도 섭취 중? 미세플라스틱 일상 속 노출 지도

by rosssa 2025. 6. 11.

 

오늘도 섭취 중? 미세플라스틱 일상 속 노출 지도

 

미세플라스틱

요즘 건강이나 환경에 관심 많은 분들이라면 한 번쯤 "미세플라스틱"이라는 단어 들어보셨을 거예요. 뉴스나 다큐멘터리에서 바다 위를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 혹은 물고기 뱃속에 들어 있는 알갱이들을 보면서 "참 심각하구나" 하고 느끼셨을 수도 있죠.

그런데 이 미세플라스틱, 이제는 더 이상 환경 문제만이 아닙니다. 우리의 밥상, 혈관, 심지어 폐 속까지 스멀스멀 들어와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디에서부터 시작됐고,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이야기 나눠보려고 해요.

 

1. 미세플라스틱, 도대체 뭐길래?

미세플라스틱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에요. 크기는 대략 5mm 이하 때로는 1㎛도 안 되는 수준으로 눈에도 잘 안 보이죠.

미세플라스틱

종류는 두 가지로 나뉘어요.

  • 1차 미세플라스틱 :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것. 예를 들면 치약이나 스크럽 제품에 들어 있던 ‘마이크로비즈’ 같은 것들이죠.
  • 2차 미세플라스틱 : 큰 플라스틱 제품이 햇빛·바람·물 등에 의해 조각조각 부서지면서 생긴 것들입니다.

예전엔 바다 생태계 오염의 주범으로만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인간이 섭취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어요.

 

2. 어디서 내 몸에 들어온다고요?

우리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경로는 의외로 아주 일상적입니다.

생수

  • 플라스틱 포장된 음식이나 음료 : 배달 음식이나 컵라면, 편의점 도시락 등에서 나온 용기를 뜨거운 음식과 함께 쓰면 미세한 플라스틱 성분이 녹아 나올 수 있어요.
  • 수돗물과 생수 : 2017년 미국의 Orb Media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생수 중 90% 이상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해산물 : 플랑크톤부터 시작해서 물고기→새우→인간까지 해양 생물들이 먹은 플라스틱이 고스란히 우리 식탁으로 올라온다는 사실. 충격적이지 않으세요?
  • 공기 중 먼지 : 섬유 제품, 플라스틱 가구, 인조 가죽 등에서 나오는 먼지도 실내 공기 속에 섞여 흡입될 수 있답니다.

 

3. 건강엔 어떤 영향을 줄까요?

가장 걱정되는 건 ‘내 몸속에 들어온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죠. 최근 연구들을 보면 무시하기 어려운 결과들이 많습니다.

  • 혈관 건강 악화 : 이탈리아 피사대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혈관 벽의 평활근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게 누적되면 동맥 경화나 심장 질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 항생제 내성 증가 : 미국 보스턴대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대장균 같은 박테리아에 항생제 내성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WHO는 이미 항생제 내성을 ‘인류를 위협하는 10대 건강 위험’ 중 하나로 경고했을 정도니까요.
  • 면역 반응과 장 건강 : 소화기관을 거치며 장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면역계에 혼란을 주는 등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요.

 

4. “플라스틱 덜 쓰는 건 불가능해요”… 그럼 어떻게 하죠?

완벽하게 플라스틱을 끊기는 어렵죠. 하지만 ‘줄이기’는 할 수 있어요. 생활 속에서 조금씩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해 볼게요.

텀블러

내가 해본 ‘Less Plastic’ 생활 습관

  • 유리·스테인리스 용기 사용하기 : 플라스틱 대신 튼튼한 유리 밀폐용기나 스테인리스 도시락통을 쓰면 건강도 환경도 지킬 수 있어요.
  • 배달 음식 덜 시키기 : 직접 요리하면 플라스틱 포장도 줄고, 나트륨 섭취도 줄고, 일석이조!
  • 텀블러, 장바구니 항상 챙기기 : 일회용 컵·비닐 줄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죠. 요즘 예쁜 디자인도 많아서 패션템 느낌으로 다니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X : 뜨거운 음식이나 전자레인지에는 절대 플라스틱 용기를 쓰지 마세요. 고온에서 유해 성분이 배출될 수 있어요.
  • 생수 대신 정수기 + 텀블러 : 일회용 페트병 소비 줄이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5. 슬기로운 소비, 플라스틱 대체재도 알아볼까요?

요즘은 친환경 소재로 만든 제품들도 많아졌어요.

  • PLA(폴리젖산) :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한 소재로 자연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대체 플라스틱이에요.
  • 종이 코팅 패키지 : 왁스나 얇은 생분해성 코팅이 들어간 종이로 만든 도시락 용기나 컵도 요즘 많이 보이죠.
  • 리필스테이션 : 샴푸, 세제 같은 생활용품을 리필로 살 수 있는 가게도 점점 늘고 있어요.

조금은 번거롭고 비쌀 수도 있지만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하면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하답니다.

 

🎀 마치며

미세플라스틱 이야기를 쓰다 보니 ‘어느새 이렇게 많아졌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걱정만 하기보단 지금부터라도 조금씩 실천해 보면 좋겠죠.

내가 마시는 물 한 모금, 아이가 먹는 밥 한 끼,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까지. 작은 변화가 큰 울림이 될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주세요.

혹시 여러분은 미세플라스틱 줄이기 위해 어떤 방법들을 실천하고 계신가요?😊